마틴게일 선물 거래 소개
마틴게일 선물거래는 DCA(Dollar Cost Averaging)이며 선물 거래 중 자주 사용하는 거래 전략 이며 리스크 분산하고 평균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DCA지수는 미국 달러 평균 전략 이다
마틴게일 거래 전략의 기본 원리
매수와 매도가 가능한 시장에서 한방향만 선택한 경우, 만약 판단이 틀리면 계속해서 반대 방향으로 추가 매수하여 시세가 회복될 시, 청산하여 이익을 창출한다. 해당 전략의 장점으로 인해 보다 많은 투자자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전략으로 되었으나 시장의 알 수 없는 변동으로 무조건 수익 창출이 되는 것이 아님을 인지해야 한다.
마틴게일 거래 전략의 참여와 실행 과정
마틴게일 전략은 다양한 시장 주기에 사용되는 전략이며, 그 핵심은 가격이 일정 비례로 하락한 후 매수(물타기)하고 시세가 회복될 시 적당한 시점에 매도하는 것이다. 해당 전략은 시세가 급변동 혹은 변동폭이 클 경우 안정적으로 거래하며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낮다.
마틴게일 전략은 그리드 전략과 비슷하며 중장기 횡보하는 시세에 적당하며 한방향으로 가는 추세에서는 적당하지 않다.
예:
롱 주문에서 만약 시세가 중장기적으로 횡보하고 있으면 마틴게일 전략은 추가 매수하며 이는 물타기와 흡사하다. 트레이더는 매수금액을 증가하여 일시적인 하락장에서 저가에 구매하여 시세가 회복된 후 매도하여 수익을 창출한다.
만약 트레이더가 마틴케일 전략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10,000달러에서 첫번째 주문을 체결하고 그 후로 비트코인이 1% 하락할 때마다 추가 매수를 한다. 예를 들어, 9,900달러와 9801달러에서 두번째와 세번째 주문을 체결하여, 평균 진입가를 낮출 수 있다.
만약 비트코인이 반등하여 일정한 익절가에 도달하면 시스템은 자동으로 청산을 하여 한건의 완전한 주문을 완성시킨다. 주의해야할 점은 익절가격은 목표값의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한다.
거래전략을 실행하기 전 사용자는 미리 익절%를 설정해야 한다. 만약 고수익을 원하면 거래 주기는 길어지며 청산하는 시기가 더욱 늦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의 사례에서 사용자가 10%익절 목표를 설정하면 익절가격은 여러건의 추가 매수 평균진입가에 따라 평균적으로 변동되며 수익이 10%에 도달하는 가격에서 자동으로 청산주문을 체결하게 된다.
DOEX에서 마틴게일 선물거래하기
1.설정모드
DOEX마틴게일 선물거래 중 사용자는 자체 설정 혹은 스마트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자체설정: 자체 설정은 경험이 풍부한 투자자가 사용하는 방식이며 자체로 투자금액과 구매 가격을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 설정: 일반 투자자는 스마트 설정을 권장 드리며, 시스템은 과거 시세와 자산 변동에 의거하여 DOEX AI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투자금액과 매수 가격을 제공해 준다.
2.거래 방향, 레버리지 배수, 거래주기 및 주기적수익
마틴게일 선물거래에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숙지한 후 상응한 계수를 설정한다:
거래방향 (롱/숏): 만약 롱DCA트레이딩봇을 선택하면 우선 시장 동향에 따라 매수한 후 가격이 상승하여 익절가격에 도달하면 청산하여 수익을 창출한다. 그후 가격이 조정되면 다시 매수한다.
레버리지 배수: 사용자는 레버리지 배수를 설정하여야 하며 레버리지 배수는 초기 주문과 추가 포지션에 적용된다.
거래주기 및 매주기의 수익:
*거래주기는 매수에서 시작해서 매도까지의 완전한 과정이다. 이는 초기 포지션, 추가 매수와 익절주문이 포함된다.
*초기 포지션은 첫 주문이며 추가 매수는 평균진입가 낮출 수 있다;
익절주문은 거래주기의 마지막 주문 이다;
*매개 주기의 수익은 완전한 거래 주기에서 발생된 수익 이다. 사용자는 설정 창구에서 매개 주기의 수익률을 설정할 수 있다.
주의 사항:
a. 완전한 거래주기는 하나의 초기 주문과 최소한의 익절주문이 포함되어야 한다;
b. 체결된 추가 포지션이 많을 수록 해당 주기내에서의 평균진입가는 낮아진다;
3.1회 익절 목표와 익절 가격
1회 익절 목표는 사용자가 완전한 거래 주기에서 희망하는 수익 비율 이다.
예를 들어 설정한 수익율이 10%일 경우 해당 주기내에 추가 매수가 없으면 비트코인 가격이 11,000달러에 도달 시, 시스템은 자동으로 청산 주문을 트리거하여 10%의 수익을 달성한다. 만약 해당 주기내에 추가 매수가 있으면 해당 포지션의 평균진입가는 낮아져 익절 가격 낮아져 최종적으로 10%의 수익에 달성하면 시스템은 자동으로 청산 주문을 실행한다.
상세한 계산공식:
롱:
익절 가격 = 해당 주기내 평균 포지션 진입가 x(1+목표 익절가)
숏:
익절 가격 = 해당 주기내 평균 포지션 진입가 x(1-목표 익절가)
마틴게일 전략은 사용자에게 실시간 변동하는 목표 익절가를 제공해주며 사용자의 희망 목표값과 실시간 시세 변동에 따라 최대한 빨리 거래를 완성하여 수익을 실현한다. 시스템이 익절 주문을 체결 시킨 후 해당 거래 주기는 완성되며, 다음 라운드로 넘어간다.
4.전략적 손절 설정
마틴게일 거래 중, 사용자는 시세변동과 자체 리스크 부담 여부에 따라 손절을 설정한다. 평균 포지션 진입가 설정된 손절가에 도달 시, 시스템은 자동으로 청산한다. 손절 청산 후 자동 매매는 종료된다.
상세한 계산공식:
롱:
손절가격 = 해당 주기내 초기 진입가 x (1- 손절%)
숏:
손절가격 = 해당 주기내 초기 진입가 x (1+ 손절%)
5.마틴게일 선물거래전략의 트리거 조건
최신체결가격이 사용자의 설정 가격을 돌파한 경우 마틴게일 거래가 트리거되며 사용자가 설정하지 않은 경우 임의로 즉시 촉발된다.
자체설정 모드에서 시스템은 즉시 거래를 시작하며, 그후 상응한 계수 설정으로 추가 매수를 실행하며 최종적으로 매도하여 전체 거래를 완성시킨다.
주의 사항:
1.마틴게일거래 실행은 투자한 자금이 따로 분리되며 마틴게일 거래에만 사용된다.
2.시세의 변동이 클 경우 혹은 가격이 지속적으로 한방향으로 추진되면 손해가 발생하며 심지어 강제청산의 위험이 존재한다. 마틴게일 거래를 실행하기 전 시장 동향을 충분히 파악하고 합리적인 손절가격을 설정하여 미지의 리스크와 손실을 낮춰야 한다.
3.마틴게일 거래를 실행하는 동안 해당 코인이 상장폐지 혹은 가타 불확실한 돌발 사고가 발생시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해당 자동 거래는 중지된다.
주의사항:
선물거래는 리스크가 높은 금융상품이며 과도한 손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과거의 수익은 미래의 수익 보장이 되지 않으며 시장의 급변동은 사용자의 자산을 전부 청산 당할 수 있습니다. DOEX는 사용자의 손실을 부담하지 않으며 사용자는 관련 선물거래에서 충분한 리스크를 인지하고 상응한 리스크를 관리해야 합니다.
DOEX
8월24일
Follow us on
X | Telegram | YouTube | Instagram | Medium
댓글
댓글 0개
이 문서에는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